태그: 기수법

문서설명
위치 기수법 Positional numeral system 또는 place-value notation. 유한한 수의 기호를 사용하여, 기호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을 결정하여 숫자를 표기하는 기수법. 아무리 큰 숫자를 표기하더라도 기호의 갯수가 늘어날 뿐 기호 자체를 확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위치 기수법에 비해 효율이 좋으며, 대부분의 "현대적인" 기수법, 특히 십진법은 위치 기수법이다.x_n x_{n-1} \cdots x_0(x_n x_{n-1} \cdots x_0)_{(b)} = x_n b^n + x_{n-1} b^{n-1} + \cdots + x_0x_n \cdots x_0 . x_{-1} \cdots x_{-m}(x_n \cdots x_0 . x_{-1} \cdots x_{-m})_{(b)} = (x_n \cdots x_0)_{(b)} + x_{-1} b^{-1} + \cdots + x_{-m} b^{-m}m\mathbb{Q}[\sqrt{5}]…
이진법 Binary number system. 0⁠과 1 두 가지 숫자를 가지고 숫자를 표현하는 위치 기수법. 불대수(Boolean algebra)라는 멋진 대수법과 대응되는데다가, 덧셈 및 곱셈과 같은 웬만한 연산들이 매우 간단한 규칙으로 끝나기 때문에 현대 디지털컴퓨터에서 매우 널리 쓰인다. 이보다 기수가 작은 위치 기수법은 없으며(일진법은 엄밀히 말해 "위치" 기수법이 아니다), 기수가 다음으로 큰 위치 기수법은 삼진법이지만 아무도 쓰지 않는다(...).…

도쿠위키DokuWiki-custom(rev 9085d92e02)을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