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 설명 |
---|---|
한자 | ISO 15924 Hani/500. 중국어와 일본어의 표기에 주로 쓰이는 표어문자.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비롯한 언어들에서도 사용한 바가 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거나 극히 드물게(한국어의 경우)만 사용된다. |
로마자 | Latin alphabet. ISO 15924 Latn/215. 라틴 문자라고도 하는, 대다수의 유럽 언어를 포함해 상당수의 현대 자연어에서 사용하는 알파벳이다. 기원전 7세기 경에 로마인들이 그리스문자의 한 갈래로부터 발전시킨 것이 시초로, 후에 라틴어의 전파와 함께 유럽 전역으로 퍼졌으며 영어의 전파를 통해 세계로 퍼졌다. |
문서 | 설명 |
---|---|
한글 | ISO 15924 Hang/286. 한국어의 표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질문자로, 세종대왕이 1446년에 반포한 훈민정음에서 유래했다.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사실상 유일한 표기 체계로 갑오개혁(1894)과 함께 한국의 공식 문자가 되었으며 (이전에는 한자), 주시경이 현재의 이름을 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