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분류

어떤 주제에 대한 목록을 모아 놓은 문서들을 위한 분류.

목록

문서설명
정렬 알고리즘 정렬 문제, 즉 n개의 원소가 들어 있는 배열을 잘 섞어서 순서대로 배치하는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 전산학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취급받기 때문에 전산학 전공했는데 이걸 모른다고 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이 사기꾼일 가능성을 의심해 봐야 한다.Aa_1, a_2, \cdots, a_n \in A\le\, \subseteq A \times A\pi\mathrm{S}_na_{\pi(1)} \le a_{\pi(2)} \le ... \le a_{\pi(n)}i \ne j \implies (a_i \le a_j \wedge a_j \le a_i)A\le\mathrm{O}(n \log n)\vert \mathrm{S}_n \vert = n!\le\log_2 n!n \log n\mathrm{O}(n^2)\mathrm{O}(n \log n)\mathrm{O}(kn)k\mathrm{O}(n \log^2 n)\mathrm{O}(n^{\frac{\log 3}{\log 2}})\le\mathrm{O}(n…
여러 문자 인코딩으로 해석되는 문자열 깨진문자인코딩의 특수한 예로, 문자열이 둘 이상의 문자 인코딩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경우 본래 해석이 아닌 다른 (보통은 어처구니 없는) 해석이 본래 해석을 대신해서 쓰이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초등 셀룰러 오토마타 Elementary cellular automaton. 1차원으로 배열된, 오로지 두 개의 상태(0과 1)만 가질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셀룰러 오토마타들. 매 세대마다 각 공간은 주변에 위치한 두 공간 및 자기 자신의 값에 따라 지정된 값으로 변경되는데, 이러한 규칙이 23 = 8개 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초등 셀룰러 오토마타는 총 28 = 256개이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 2011년 12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아랍에미리트연방의 버즈칼리파(828미터; 최상층 621.3미터)이다. 그 다음으로 가장 높은 건축물이 무엇인지는 정의에 따라 제각각이다. (사실 버즈 칼리파가 너무 높아서 이 문제를 말끔하게 해결해 버린 게 정말 다행이다!)
위치 기수법 Positional numeral system 또는 place-value notation. 유한한 수의 기호를 사용하여, 기호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을 결정하여 숫자를 표기하는 기수법. 아무리 큰 숫자를 표기하더라도 기호의 갯수가 늘어날 뿐 기호 자체를 확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위치 기수법에 비해 효율이 좋으며, 대부분의 "현대적인" 기수법, 특히 십진법은 위치 기수법이다.x_n x_{n-1} \cdots x_0(x_n x_{n-1} \cdots x_0)_{(b)} = x_n b^n + x_{n-1} b^{n-1} + \cdots + x_0x_n \cdots x_0 . x_{-1} \cdots x_{-m}(x_n \cdots x_0 . x_{-1} \cdots x_{-m})_{(b)} = (x_n \cdots x_0)_{(b)} + x_{-1} b^{-1} + \cdots + x_{-m} b^{-m}m\mathbb{Q}[\sqrt{5}]…
복잡도 종류 Complexity class. 전산학에서 다루는 문제의 종류를 그 복잡도에 따라 분류한 집합. 알고리즘분석과 계산이론의 주된 주제 중 하나이다. 여기서 말하는 "복잡도"라는 것은 매우 잘 정의된 개념으로, 어떤 문제의 복잡도는 그 문제를 특정한 종류의 계산 모델로 풀 때 필요한 시간이나 공간을 가지고 결정된다. 예를 들어 외판원문제(TSP)의 결정문제 버전은 비결정적튜링기계에서는 입력 크기의 다항식에 비례하는 시간(다항시간) 안에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게 알려져 있으며, 이를 복잡도 종류를 사용해서 표현하면 \mathrm{TSP} \in \mathbf{NP}라고 표현할 수 있다. 문제의 복잡도를 이런 식으로 분류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중요한데 이를테면 어떤 문제는 좀 더 단순한 (추상) 기계만으로 풀 수 있거나 훨씬 효율적으로 풀수 있다거나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중괄호를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 말 그대로, 여러 문장을 묶기 위해 중괄호를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 대표적인 예가 C이며, C의 영향을 많이 받은 C++나 C#, 자바, ECMAScript, D언어 등도 여기에 속한다. 워낙 C의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언어들은 매우 높은 확률로 문장 구분자가 ;이며, 보통 공백이 코드 의미에 거의 영향을 안 미친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숫자 목록 숫자의 목록. 당연하지만 숫자는 무한히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별도의 문서가 만들어질 정도로 중요성이 있는 숫자만 쓴다. * -1 * 0 * 1, 2, 3, 4, 5, 6, 7, 8, 9, 10 숫자, 목록
괴혼 傀魂(カタマリダマシイ, 로마자화는 Katamari Damacy). 남코(현재의 남코반다이게임즈)가 개발한 비디오게임 시리즈로, 자신보다 작은 물체를 붙여서 굴릴 수 있는 "덩어리"(카타마리)로 정해진 목적을 수행하는 퍼즐·액션 게임이다.
아니메 목록 lifthrasiir가 즐겨 본 아니메들의 목록. 분류는 아니메시즌에 따르며, OVA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2011년 4월 신작 * 《A채널》 * 《그날봤던꽃의이름을우리는아직모른다》 * 《롯테의장난감》 * 《신만이아는세계》 2기 * 《일상》 * 《파이어볼애니메이션》 2기
리듬게임 시뮬레이터 기존에 존재하는 (특히 아케이드) 리듬게임을 흉내내기 위한 PC 프로그램들. 개중에는 BMS처럼 입지를 다져서 시뮬레이터 신세를 벗어난 경우도 있다만 대부분은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 한 게 사실.
레거시가 지배하는 세상 모두가 잘 알고 있듯 레거시는 새롭고 더 좋은 무언가가 나왔을 때 곧바로 새 것으로 옮겨갈 수 없게 하는 좋지 못한 것이다. 안타깝게도 현대의 세계에서는 온갖 것들이 레거시로 가득 차 있다. 여기에서는 그런 레거시의 몇 가지 예를 나열한다.
일본의 사건·사고 일본에서 일어난 사건사고들 중 관심 있는 것들의 목록. * 사카키바라 세이토 (1999-05) 바깥 링크 * 무한회랑 endless loop 목록
역사를 만든 사람 * 이재율은 이글루스 개별 사용자 차단 기능에 굉장한 공헌을 했다. * 용개는 리니지2 시절 뉴비들 PK를 일삼은 덕분에 엔씨소프트가 약관을 개정하게 만들었다. 사람, 목록
암호문 목록 다음은 잘 알려진 암호문들의 목록이다. 해독되지 않은 언어·문자 목록도 참고. * "The Magic Words are Squeamish Ossifrage" * 도라벨라암호 * 보이니치문서 * 빌 암호 * 에드가앨런포암호 * 조디악살인 * 중국금괴암호 * 치머만전보 * 코덱스 세라피니아누스 * 크립토스 * 타만슈드사건 * 〈황금벌레〉
웹툰 목록 다음은 (특히 lifthrasiir가 관심 있게 봤던) 웹툰의 목록이다. 이름 순 정렬. 네이버 만화 * 골방환상곡 (워니) * 국가의 탄생 (고리타) * 나이트런 (김성민) * 낢에게와요 (서나래) * 낢이사는이야기 (서나래) * 도자기 (호연) * 두근두근두근거려 (하일권) * 마스코마스코 (남정훈) * 마음의소리 (조석) * 묵회 (한나) * 바나나걸 (김진태) * 생활의참견 (김양수) * 세개의시간 (정구미) * 수사9단 (김선권) * 신과함께 (주호민) * 실질객관동화 (무적핑크) * 와라편의점 (지강민) * 와일드 와일드 워커스 (김진태) * 와탕카 (우주인) * 이말년 씨리즈 (이말년) * 입시명문사립정글고등학교 (김규삼) * 탐구생활 (메가쑈킹만화가) * 트라우마 (곽백수) * 호랭총각 (강호진) * 히어로메이커 (빤쓰)…
HL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 ITU 호출 부호 접두어 HL은 대한민국에 할당되어 있으며, 1948년 이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HL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는 다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HLA~HLF: 국제 전기통신 업무 * HLG~HLJ, HLL~HLZ: 국내 전기통신 업무 * HLK: 단파 방송 업무 * HL0~HL9: 아마추어국
ISO 표준 ISO, ISO/IEC는 편의상 여기로 넘어 온다. 이들 표준을 제정하는 국제 기구는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표준회의(IEC)를 참고하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표준화하는 국제 표준들의 목록. 보통 ISO xxxx[-n]:yyyy 식으로 표현하는데, xxxx은 표준 번호이고 n은 표준 내에서의 부분(part) 번호이며 yyyy는 해당 표준의 연도를 가리킨다(따라서 공식적으로는 연도까지 함께 써야 올바른 이름이 된다). 다른 표준화 기구가 함께 참여할 경우 ISO/IEC/IEEE xxxx:yyyy 같은 형태로 참여한 모든 표준화 기구의 이름이 표준에 포함된다. 아직 표준화가 완료되지 않은 문서에 대해서는, ISO FDIS xxxx:yyyy와 같은 형태의 표준화 상태에 대한 이름이 붙는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면 ISO xxxx:yyyy는 "국제 표준"이라는 의미에서 ISO IS xxxx:yyyy를 줄여 쓴 것이다.) 표준화 뒤에도 개정판(amendment)이 오는 경…
유비트 수록곡 목록 유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곡들의 목록. 곡 수가 곡 수이니만큼 다 쓰진 않으며, 자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엔하위키나 jubeat@Wiki(일본어)를 참고할 것. 유비트 오리지날 * Evans * SigSig *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블로그 서비스 정해진 형태로 구성된 블로그를 호스팅해 주는 웹서비스. 그 자유도는 천차만별이라서 모든 것을 다 뜯어 고칠 수 있는 텀블러 같은 것부터 뜯어 고치지 말라고 아주 온몸으로 외치는 여러 포탈 블로그들(네이버블로그는 요즘은 약간 낫다)까지 다양하다.
문자 인코딩 Character encoding. 문자 집합에 있는 문자들을 적절한 바이트의 열로 표현하는 방법. 많은 문자 집합이 문자 인코딩의 역할을 겸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문자 인코딩은 그 접근 방법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베이퍼웨어 Vaporware. 보통 소프트웨어가 개발이 시작된 지 한참 지나도 발표가 나지 않거나, 심지어는 질질 끌다가 결국 개발이 취소되는 상황을 이른다. (다만 후자의 경우 취소가 일단 나면 베이퍼웨어 딱지는 뗄 수 있다. 망했다는 게 문제지만.)
해독되지 않은 언어·문자 목록 다음은 해독되지 않은 언어와 문자의 목록이다. 문자의 경우 ISO 15924 부호가 뒤따른다. 암호문 목록도 참고. * 선형문자A (Lina) * 롱고롱고 (Roro) 비교적 최근에 해독된 언어·문자 * 선형문자B (Linb, 1950년대 해독)
ITU 호출 부호 접두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지정한 호출부호의 국가별 접두어. A~Z 및 0~9까지로 이루어진 세 자리 접두어 영역을 할당받으나, 보통 세번째 자리까지 봐야 국가가 결정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2011년 현재 두 가지 케이스, 3D와 SS 밖에 없다).
아무거 메아리 풉;이 다루는 주제. 기본적으로 다음 요소들의 선형결합이다. 즉, 어떻게 섞여서 나와도 당황하면 안 된다. 개인적인 것 * lifthrasiir * lifthrasiir가좋아하는것 * 사람 목록 * 2011년
문자 집합 Character set. 말 그대로, 문자의 집합. 좀 더 정확히는 서로 다른 문자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문자들에 번호를 붙여 놓은 것이다(또는 정사각형으로 배열해서 행·열로 부르거나). 그러니까 여기서 말하는 집합은 set이기도 하지만 repertoire로 이해하는 게 더 비슷하다.
길이의 단위 길이의 단위. 길이는 기본 물리량의 하나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단연 국제단위계의 미터 및 관련 단위이지만 역사적인 이유 또는 현실적인 이유로 여전히 쓰이는 길이 단위도 상당히 많다.
한국어 위키 목록 다음은 한국어 위키들의 목록이다. 좀 더 서술적인 걸 원하면 한국어 위키의 역사를 참고하시랍. 백과사전 및 비스무리한 곳들 * 한국어 위키백과 (일반 백과사전, 위키백과의 한국어판) * 백괴사전 (한국어 위키백과의 패러디, 언사이클로피디어의 한국어판) * 엔하위키 (잡학 및 오덕사전) * 오픈토리 (일반 백과사전) * 메아리 풉; (음...)
사람 목록 여기에서는 편의상 사람들을 네 종류로 분류함: 지인: lifthrasiir와 일정 기간(딱히 정해진 것은 아님) 이상 서로의 생각을 교환할 수 있을 정도로 대화가 이루어진 사람들. 아는 사람: 서로 면식은 있지만 자주 대화할 정도로 가깝진 않은 사람. 관심 있는 사람: 당사자가 lifthrasiir를 아는 건 아니지만, lifthrasiir는 그를 알고 있고 이런 저런 이유(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 그냥 사람: 당사자가 lifthrasiir를 아는가에 상관 없이 오로지 언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알고 있는 사람.…
사람 잡는 것 이런 저런 다양한 이유로 사람을 잡는 것들의 목록. 언어학 * 네덜란드어에서 IJ의 발음 (볼 때마다 한 번씩 머리를 긁적이게 된다.) * 터키어의 점 없는 I (유니코드 구현들이 로캘 구현할 때 한 번씩 거쳐 가게 되는 심각한 문제. 실제로 이것 때문에 사람이 죽은 사건이 있다!)
망한 것들의 목록 망한 것들의 목록: * 이명박 정권 * 대다수 코스모스 채널 출신 사람들의 웹 사이트 (이를테면 바로슬닷컴) * 망콘콘 * 티맥스 윈도 * 멕시코만원유유출사건 목록
미해결 문제 수학 * 골드바흐추측 * 리만가설 * 쌍둥이소수 추측 * P = NP 문제 * abc추측 * 홀수완전수의 존재 여부 비교적 최근에 증명된 것: * 도로색칠문제 (2007년 증명) -- 참 * 푸앵카레추측 (2002년 증명) -- 참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1995년 증명) -- 참 * 4색정리 (1977년 증명) -- 참; 컴퓨터증명에 의존하지 않는 접근은 아직 없음
라이선스 목록 아래는 잘 쓰이는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목록이다. 소프트웨어 카피레프트 자세한 사항은 카피레프트 참고. * GNU GPL (GPLv3도 참고) * GNU LGPL * GNU AGPL 비카피레프트 기술적으로 라이선스는 아니지만 퍼블릭도메인도 라이선스와 비슷하게 취급하곤 한다.

도쿠위키DokuWiki-custom(rev 9085d92e02)을 씁니다.
마지막 수정 2011-05-30 18:25 | 외부 편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