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점

이 페이지의 선택한 이전 버전과 현재 버전 사이의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연결

대한민국의텔레비전방송 [2011-07-30 00:54]
lifthrasiir 미친 오타 수정
대한민국의텔레비전방송 [2012-10-24 11:04] (현재)
lifthrasiir 으악 음성과 영상 주파수를 뒤집어 썼네
줄 5: 줄 5:
 ===== 공중파 방송 ===== ===== 공중파 방송 =====
  
-기술적으로 볼 때 대한민국의 공중파 방송은 [[미국]]과 유사하게 흑백 텔레비전은 시스템 M(525행), 컬러 텔레비전은 [[NTSC]], 디지털 텔레비전은 [[ATSC]]를 사용한다.+기술적으로 볼 때 대한민국의 [[공중파방송]]은 [[미국]]과 유사하게 흑백 텔레비전은 시스템 M(525행), 컬러 텔레비전은 [[NTSC]], 디지털 텔레비전은 [[ATSC]]를 사용한다.
  
 뭐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겠으나, [[대한민국수도권]]의 공중파 방송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공중파 방송을 좌지우지하는 가장 중요한 방송이다. 이 지역에서 방송하는 대부분의 텔레비전 방송국은 다른 지역에서도 방송국 네트워크의 형태로 시청이 가능하다. 다만 KBS와 MBC는 모든 지역 방송국이 자회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SBS의 경우 지역 방송국들이 별도로 개국 후 SBS의 방송을 사 오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자체 편성이 좀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 (사실... KBS는 모 보고서에서 일부 지역 방송국의 자체 편성이 **0%**라고 까인 적도 있다.) 뭐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겠으나, [[대한민국수도권]]의 공중파 방송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공중파 방송을 좌지우지하는 가장 중요한 방송이다. 이 지역에서 방송하는 대부분의 텔레비전 방송국은 다른 지역에서도 방송국 네트워크의 형태로 시청이 가능하다. 다만 KBS와 MBC는 모든 지역 방송국이 자회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SBS의 경우 지역 방송국들이 별도로 개국 후 SBS의 방송을 사 오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자체 편성이 좀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 (사실... KBS는 모 보고서에서 일부 지역 방송국의 자체 편성이 **0%**라고 까인 적도 있다.)
  
-2011년 현재 [[대한민국수도권]]에서 시청 가능한 공중파 아날로그 [[텔레비전채널]]은 7개로, 이 중 [[AFN Korea]]를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로도 시청할 수 있다. 대부분의 채널 번호는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 과정에서도 별 탈 없이 유지되었기 때문에((물론 이건 가상 채널 번호 기준이다. 실제 채널 번호는 가상 채널 번호와 전혀 상관이 없기 때문에 혼선을 줄이기 위해 송신소마다 완전히 제각각으로 배당되어 있다.)) 수도권 시청자들은 채널 번호와 방송국을 강하게 연관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다음은 현재까지 존재했던 모든 텔레비전 채널 번호의 목록이다.+[[2011년 현재]] [[대한민국수도권]]에서 시청 가능한 공중파 아날로그 [[텔레비전채널]]은 7개로, 이 중 [[AFN Korea]]를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로도 시청할 수 있다. 대부분의 채널 번호는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 과정에서도 별 탈 없이 유지되었기 때문에((물론 이건 가상 채널 번호 기준이다. 실제 채널 번호는 가상 채널 번호와 전혀 상관이 없기 때문에 혼선을 줄이기 위해 송신소마다 완전히 제각각으로 배당되어 있다.)) 수도권 시청자들은 채널 번호와 방송국을 강하게 연관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다음은 현재까지 존재했던 모든 텔레비전 채널 번호의 목록이다.
  
-  * **채널 번호 2** --- [[VHF]] 채널 2 (영상 59.75 [[메가헤르츠|MHz]], 음성 55.25 MHz)+  * **채널 번호 2** --- [[VHF]] 채널 2 (음성 59.75 [[메가헤르츠|MHz]], 영상 55.25 MHz)
     * [[AFN Korea|AFKN]] (1957-09-15 ~ 1996-04-30)     * [[AFN Korea|AFKN]] (1957-09-15 ~ 1996-04-30)
-  * **채널 번호 6** --- VHF 채널 6 (영상 83.25 MHz, 음성 87.75 MHz), 디지털 [[가상채널]] 6-1+  * **채널 번호 6** --- VHF 채널 6 (음성 83.25 MHz, 영상 87.75 MHz), 디지털 [[가상채널]] 6-1
     * [[SBS TV]] (1991-12-09 ~ 현재)     * [[SBS TV]] (1991-12-09 ~ 현재)
-  * **채널 번호 7** --- VHF 채널 7 (영상 179.75 MHz, 음성 175.25 MHz), 디지털 가상 채널 7-1+  * **채널 번호 7** --- VHF 채널 7 (음성 179.75 MHz, 영상 175.25 MHz), 디지털 가상 채널 7-1
     * [[동양방송|TBC TV]] (1964-12-07 ~ [[1980년언론통폐합|1980-11-30]])     * [[동양방송|TBC TV]] (1964-12-07 ~ [[1980년언론통폐합|1980-11-30]])
     * [[KBS 2TV]] (1980-12-01 ~ 현재)     * [[KBS 2TV]] (1980-12-01 ~ 현재)
줄 21: 줄 21:
     * [[경인방송|iTV]] (송신 허가증만 발부된 상태에서 [[흑역사]]가 되어 버림)     * [[경인방송|iTV]] (송신 허가증만 발부된 상태에서 [[흑역사]]가 되어 버림)
     * [[OBS경인방송|OBS]] (2007-12-28 ~ 현재)     * [[OBS경인방송|OBS]] (2007-12-28 ~ 현재)
-  * **채널 번호 9** --- VHF 채널 9 (영상 191.75 MHz, 음성 187.25 MHz), 디지털 가상 채널 9-1+  * **채널 번호 9** --- VHF 채널 9 (음성 191.75 MHz, 영상 187.25 MHz), 디지털 가상 채널 9-1
     * [[대한방송|KORCAD TV]] (1956-05-12 ~ 1961-10-15)     * [[대한방송|KORCAD TV]] (1956-05-12 ~ 1961-10-15)
     * [[KBS 1TV]] (1961-12-31 ~ 현재)     * [[KBS 1TV]] (1961-12-31 ~ 현재)
   * **채널 번호 10** --- 디지털 가상 채널 10-1   * **채널 번호 10** --- 디지털 가상 채널 10-1
     * [[EBS TV]] (2001-11-05 ~ 현재)     * [[EBS TV]] (2001-11-05 ~ 현재)
-  * **채널 번호 11** --- VHF 채널 11 (영상 203.75 MHz, 음성 199.25 MHz), 디지털 가상 채널 11-1+  * **채널 번호 11** --- VHF 채널 11 (음성 203.75 MHz, 영상 199.25 MHz), 디지털 가상 채널 11-1
     * [[MBC TV]] (1969-08-08 ~ 현재)     * [[MBC TV]] (1969-08-08 ~ 현재)
-  * **채널 번호 13** --- VHF 채널 13 (영상 215.75 MHz, 음성 211.25 MHz)+  * **채널 번호 13** --- VHF 채널 13 (음성 215.75 MHz, 영상 211.25 MHz)
     * [[KBS 3TV]] (1981-02-02 ~ 1990-12-27)     * [[KBS 3TV]] (1981-02-02 ~ 1990-12-27)
     * [[EBS TV]] (1990-12-27 ~ 현재)     * [[EBS TV]] (1990-12-27 ~ 현재)
-  * **채널 번호 21** --- UHF 채널 21 (영상 517.75 MHz, 음성 513.25 MHz)+  * **채널 번호 21** --- UHF 채널 21 (음성 517.75 MHz, 영상 513.25 MHz)
     * [[경인방송|iTV]] (1997-10-11 ~ 2004-12-31)     * [[경인방송|iTV]] (1997-10-11 ~ 2004-12-31)
-  * **채널 번호 34** --- UHF 채널 34 (영상 595.75 MHz, 음성 591.25 MHz)+  * **채널 번호 34** --- UHF 채널 34 (음성 595.75 MHz, 영상 591.25 MHz)
     * [[AFN Korea]] (1996-05-01 ~ 현재)     * [[AFN Korea]] (1996-05-01 ~ 현재)
  
줄 47: 줄 47:
 |  **[[부산광역시|부산]]·[[울산광역시|울산]]·[[경상남도|경남]]**  |  KNN\\ ubc 울산방송  |  KBS 2TV  |  -  |  KBS 1TV  |  EBS  |  부산 MBC\\ 울산 MBC\\ 창원 MBC\\ 진주 MBC  | |  **[[부산광역시|부산]]·[[울산광역시|울산]]·[[경상남도|경남]]**  |  KNN\\ ubc 울산방송  |  KBS 2TV  |  -  |  KBS 1TV  |  EBS  |  부산 MBC\\ 울산 MBC\\ 창원 MBC\\ 진주 MBC  |
 |  **[[제주도|제주]]**  |  JIBS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  KBS 2TV  |  -  |  KBS 1TV  |  EBS  |  제주 MBC  | |  **[[제주도|제주]]**  |  JIBS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  KBS 2TV  |  -  |  KBS 1TV  |  EBS  |  제주 MBC  |
 +
 +===== 유선 방송 =====
 +
 +기술적으로 볼 때 대한민국의 [[유선방송]]은 공중파 방송과 마찬가지로 아날로그는 NTSC, 디지털은 ATSC를 사용한다. [[유럽]] 등지에서 쓰이는 DVB와는 달리, ATSC는 유선용 표준과 공중파용 표준이 동일하기 때문.
 +
 +대한민국의 유선 방송은 종합 유선 방송(공중파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신호를 추가적으로 함께 전달하는 경우)이 주가 되고 순수한 중계 유선 방송(공중파의 [[난시청]] 해소를 위해 같은 신호를 유선으로만 전달하는 경우)이 사실상 사라진 기형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이는 컨텐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들(SO, System Operator)의 과도한 가입자 확보 때문에 중계 유선 방송 사업자들(RO, Relay Operator)의 입지가 축소되어 나타난 것으로, 이런 상황에 정부에서 SO들의 과도한 경쟁을 억제한다는 명분으로 SO들의 **지역 독점을 허용**해 버린 덕분에 시장이 엉망이 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한민국 가구의 상당수([[2010년 현재]] 85%(([[http://www.kcta.or.kr/bbs/board_view.asp?pNum=10223&bbsID=pds|2010년 12월 케이블TV방송 가입자 현황]]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거의 비슷한 시기(동년 11월)에 집계한 대한민국 가구 수는 1757만 가구였다.)))가 [[유선방송]] 가입자라는 것이 문제.
 +
 +중계 유선 방송 사업자들과는 별개로 대한민국의 유선 방송 채널(PP, Program Provider; 정식 명칭은 "방송 채널 사용 사업자")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정해진 장르의 프로그램만 편성할 수 있는 일반 유선 방송 채널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로운 편성이 가능한 [[종합편성채널]](통칭 종편)이다. 전자는 1995년 3월(명분이 되는 종합유선방송법 자체는 1991년 제정)에, 후자는 [[2011년 12월]]에 첫 방송을 시작했다.
 +
 +==== 일반 유선 방송 채널 ====
 +
 +대략 90여개의 일반 유선 방송 채널이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후술할 [[#IPTV]]와 [[#위성 방송]] 채널과 겹친다. 유선 방송의 특성상 채널 번호는 SO에 따라 제각각이다((다만 [[YTN]] 같이 엄청난 노력 끝에 채널 번호를 거의 고정시킨 경우가 존재하긴 한다. YTN의 경우 "24시간 뉴스 채널"이라는 모토 하에 채널 24를 밀었고, 아날로그의 경우 [[http://www.ytn.co.kr/service/ytn_chinfo.php|그 목표를 달성했다]].)). 아래 목록은 모든 채널을 나열한 것은 아니다.
 +
 +  ? 영화
 +  ! [[OCN]], [[채널CGV]] 등
 +  ? 드라마
 +  ! [[KBS드라마]], [[MBC드라마넷]], [[SBS플러스]] 등
 +  ? 보도
 +  ! [[YTN]] 등
 +  ? 다큐멘터리
 +  ! [[KBS프라임]], [[MBC라이프]], [[디스커버리채널]],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  ? 게임
 +  ! [[온게임넷]], [[MBC게임]], [[애니박스]]
 +  ? 애니메이션
 +  ! [[투니버스]], [[애니박스]], [[애니플러스]] 등
 +  ? 외국어
 +  ! [[아리랑TV]]
 +
 +==== 종합 편성 채널 ====
 +
 +현재 4개의 [[종합편성채널]]이 있으며, SO에 따라 차이가 크지만 대부분 14~19번 사이의 채널 번호에 우후죽순으로 할당되어 있다. 이들 채널은 공중파를 제외한 모든 텔레비전 방송 매체에서 항상 재전송해야 한다(공중파의 경우 [[KBS 1TV]]와 [[EBS]]에만 이 제약이 적용된다).
 +
 +  * [[MBN]] (기존에는 일반 유선 방송 채널이었음)
 +  * [[JTBC]]
 +  * [[TV조선]]
 +  * [[채널A]]
 +
 +분명 기존의 SO에 종속된 PP가 아닌 완전히 자율적인 PP가 등장한 걸 환영해야 할텐데, 저 네 개 중 세 개가 주요 [[신문]]사(그 이름하야 **[[조중동]]**)이 대주주라니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지 알 수가 없다....
 +
 +===== 위성 방송 =====
 +
 +대한민국에서 수신 가능한 해외 위성 방송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대한민국에만 한정한다면 [[KT스카이라이프]]가 유일한 [[위성방송]] 사업자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잘 알려져 있는 [[무궁화위성]]의 사용 용도 중 하나이기도 하다(물론 처음부터 스카이라이프에 쓰려고 발사했다는 얘기는 당연히 아니다). 기술적으로는 [[DVB-S]] 표준을 사용한다.
 +
 +대부분의 유선 방송 채널은 스카이라이프로도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유선 방송과의 경쟁을 위해 스카이라이프에서만 볼 수 있는 채널을 추가하는 경향도 있다. 초창기에 스카이라이프로만 방송되었던 [[애니맥스]]가 대표적인 예.
 +
 +===== IPTV ====
 +
 +대한민국 방송법에서 [[IPTV]] 사업자의 정식 명칭은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 사업자"로, [[2009년]] 이래 세 개의 사업자가 존재한다. <del>어째 주요 [[인터넷서비스제공자]]와 겹치는 건 [[기분탓]]이겠지</del>
 +
 +  * [[올레TV]] (전 메가TV)
 +  * [[B TV]]
 +  * [[Uplus TV]] (전 myLGtv)
  
 {{tag>대한민국 텔레비전방송}} {{tag>대한민국 텔레비전방송}}

도쿠위키DokuWiki-custom(rev 9085d92e02)을 씁니다.
마지막 수정 2011-07-30 00:54 | 작성자 lifthrasi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