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 ====== [[ISO 15924]] ''Hang''/286. [[한국어]]의 표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질문자]]로, [[세종대왕]]이 1446년에 반포한 [[훈민정음]]에서 유래했다.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사실상 유일한 표기 체계로 [[갑오개혁]](1894)과 함께 [[한국]]의 공식 문자가 되었으며 (이전에는 [[한자]]), [[주시경]]이 현재의 이름을 붙였다. 한글은 [[낱소리]]를 단위로 표기하는 [[음소문자]]이며, 그 중에서도 낱소리 문자의 모양에 해당 낱소리의 특징("자질")이 반영되어 있는 대표적인 자질 문자에 속한다. 많은 자질 문자는 자질을 나타낼 필요성(이를테면 [[Alexander Bell]]의 [[비지블스피치]])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한글은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문자에 자질을 반영하여 현재까지도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또한 다른 자질 문자와 비교했을 때 만들어진 시대가 몇 세기 앞서며, 심지어 군주의 연구(!)로 만들어졌다는 것도 상당히 특이한 점이다. ===== 구성 ===== 현대 한글은 24개의 낱자 즉 14개의 닿소리와 10개의 홀소리를 기반으로, 발음의 중첩(겹소리)을 나타내기 위해 낱자를 여러 개 겹쳐 쓰는 16개의 겹닿소리와 11개의 겹홀소리가 합쳐져 구성된다. 한 글자 마디(음절)에 속하는 낱자는 한데 묶어서 네모난 틀 안에 쓰며([[모아쓰기]]), 한 글자 마디는 닿소리인 첫소리(초성), 홀소리인 가운뎃소리(중성), 그리고 빠질 수 있는 닿소리인 끝소리(종성)으로 구성된다. [[옛한글]]은 이보다 훨씬 많은 낱자(기본적으로는 닿소리 ㅿ, ㆁ, ㆆ와 홀소리 [[아래아|ㆍ]]와 함께 수많은 겹낱자가 포함된다)를 포함하고 있으나 조합 원리는 동일하며, 현대 한글과의 근본적인 차이는 ㅇ의 소리값(소리 없음)이 ㆁ의 소리값(/ŋ/)으로 변하면서 받침이 없는 글자가 생겼다는 것과, [[성조]]를 표현하기 위한 [[방점]]의 유무([[16세기]] 이후 성조의 소멸로 자연스럽게 사라짐) 정도 뿐이다. ===== 한글의 컴퓨터 표현 ===== 현대 한글의 기본적인 레퍼토리는 [[대한민국]] [[KS표준|국가 표준]]인 [[KS X 1001]]과 [[KS X 1002]] [[문자집합]]으로 정의되었으며, 이 중 KS X 1001은 [[EUC-KR]] [[문자인코딩]]의 형태로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이들 문자 집합은 (주로 [[94x94]] 문자 집합의 제약으로 인해) 전체 1만 1172자의 현대 한글 글자마디를 포함할 수 없는 [[완성형]]으로 비판을 많이 받았다. [[유니코드]]는 2.0 이후 (이전에는 KS X 1001/1002 등에서 유래한 문자들을 무작위로 추가했다) 모든 현대 한글 낱자와 글자마디를 [[기본다국어평면]](BMP)의 1/6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 수록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옛한글 표현을 위해 조합 가능한 낱자들을 따로 제공한다. 현재는 EUC-KR이 점차 유니코드 기반 인코딩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므로 앞으로는 [[완성형조합형논쟁]] 따위는 보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자세한 것은 [[유니코드와한글]]을 참고. {{tag>문자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