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스 부호 ====== Morse code. [[문자]]를 전파, 소리, 불빛 등으로 표현된 연속된 이진 신호로 부호화하는 체계. 본래는 1840년대에 [[전신]]에 쓸 목적으로 [[Samuel Morse]]가 고안한 것(미국 모스 부호)이 최초이며, 후에 독일 철도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량된 버전이 널리 퍼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의해 1865년 [[표준화]]되었다. 모스 부호는 같은 길이(단위 시간)만큼 지속되는 0 및 1 신호의 조합으로 각 문자를 표기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속된 1 신호의 길이를 통해 부호화를 한다. 1 신호는 1 단위 시간(dit) 또는 3 단위 시간(dah)만큼 지속될 수 있으며, dit과 dah는 한 문자 안에서는 1 단위 시간, 두 문자를 구분할 때는 3 단위 시간, 그리고 두 낱말을 구분할 때는 7 단위 시간만큼의 0 신호로 구분된다. 낱말의 구분이 명확하기 때문에 모스 부호는 [[접두부호]]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음 신호("HELLO")에서 ''000''은 네 차례 나오므로 다섯 글자로 이루어진 한 낱말에 대한 신호임을 알 수 있다. 1010101000100010111010100010111010100011101110111 . . . . . . _ . . . _ . . _ _ _ 모스 부호는 보통 대소문자 구분이 없는 [[로마자]]와 [[숫자]], 그리고 기타 기호 및 약어(prosign)를 표현하며, 로마자를 사용하지 않는 문자의 경우 해당 문자를 로마자로 부호화하는 여러 확장이 존재한다(이를테면 [[한글]]의 경우 SKATS). ===== 사용 ===== 본래 모스 부호는 전신에서 널리 쓰였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아마추어라디오]](HAM) 통신에서 가장 널리 쓰이며 이마저도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 경우 전파를 연속파 "변조", 즉 연속된 전파를 보내고 안 보내는 길이를 통해 모스 부호를 전달하며, 이 방법을 따서 모스 부호를 CW라고 종종 부르기도 한다(물론 연속파 말고 다른 방법으로도 모스 부호를 전달할 수는 있다). 전파 통신 외에도 모스 부호를 최소한의 동작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하는 사례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베트남전쟁]] 중 [[전쟁포로]]로 몇 년간 잡혀 있던 병사가 거짓 텔레비전 인터뷰를 진행하는 도중 눈을 깜빡여 모스 부호로 "고문"(TORTURE)을 표현하여 자신과 동료들이 사실은 고문을 받았음을 전달한 사례가 있다.(([[위키백과]] [[en>Jeremiah Denton]] 문서 참고.)) ===== 대응표 ===== 다음은 널리 쓰이는 국제 모스 부호와 문자 간의 대응표이다. (아래 표에서 &, $, _에 대한 대응은 표준은 아니지만 널리 쓰이며, @는 [[2004년]]에 공식으로 추가되었다.) ^ 문자 ^ 부호 ^ 문자 ^ 부호 ^ 문자 ^ 부호 ^ 문자 ^ 부호 ^ 문자 ^ 부호 ^ | A | · — | L | · — · · | W | · — — | : | — — — · · · | 1 | · — — — — | | B | — · · · | M | — — | X | — · · — | ; | — · — · — · | 2 | · · — — — | | C | — · — · | N | — · | Y | — · — — | = | — · · · — | 3 | · · · — — | | D | — · · | O | — — — | Z | — — · · | ' | · — — — — · | 4 | · · · · — | | E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F | · · — · | Q | — — · — | , | — — · · — — | _ | · · — — · — | 6 | — · · · · | | G | — — · | R | · — · | ! | — · — · — — | ( | — · — — · | 7 | — — · · · | | H | · · · · | S | · · · | ? | · · — — · · | ) | — · — — · — | 8 | — — — · · | | I | · · | T | — | + | · — · — · | & | · — · · · | 9 | — — — — · | | J | · — — — | U | · · — | - | — · · · · — | $ | · · · — · · — | 0 | — — — — — | | K | — · — | V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반 문자들과는 별개로, 통신을 짧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어(prosign)들은 종종 두 글자 또는 세 글자임에도 중간에 공백(3 단위 시간) 없이 쓰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윗줄을 그어 각 글자 사이의 간격이 3 단위 시간이 아닌 1 단위 시간임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예로 {.over}CT{/}(· — · — ·; 통신의 시작), {.over}BT{/}(— · · · —; 문장 구분), {.over}SN{/}(· · · — ·; 전달받았음), 그리고 {.over}SOS{/}(· · · — — — · · ·; [[SOS|응급 상황]])가 있으며, 일부 기호들에 대한 문자가 이런 식으로 정의된 경우도 있다((이를테면 $는 {.over}SX{/}, !는 {.over}KW{/}, 그리고 @는 {.over}AC{/}(아마도 "At Commercial"의 약자)이다.)). 하나의 모스 부호 열은 여러 개의 약어로 해석 가능하며, 종종 다른 기호들과도 겹치기 때문에 같은 의미의 약어가 여러 표기로 쓰이기도 한다(예를 들어 {.over}BT{/}는 보통 =로도 많이 쓴다). 전송 도중 실수를 했을 경우 보통 여섯 개 이상의 {.over}E{/}의 열(즉, dit만으로 이루어진 열)을 써서 오류임을 나타낸다. {{tag>부호 전파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