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점

이 페이지의 선택한 이전 버전과 현재 버전 사이의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연결

기본다국어평면 [2011-05-30 18:25]
127.0.0.1 외부 편집기
기본다국어평면 [2011-12-31 17:38] (현재)
lifthrasiir 주석 추가
줄 12: 줄 12:
  
   * 한글은 본래 유니코드 1.0.0에서는 **[[KS X 1001]]의 2350자만 취했다**(!). 그러나 1.1에서 [[KS X 1003]] 및 기타 여기 저기서 가져온 4306자를 더 추가한 뒤에야 이 정책이 영 좋지 않았음이 확인되었고, 결국 2.0에서 영역을 모두 갈아 엎으면서 현대 한글 11172자를 모두 집어 넣으며 문제가 일단락된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로비가 꽤 있었다는 얘기가 있다) 이 때문에 [[http://unicode.org/policies/stability_policy.html#Encoding|유니코드 인코딩 안정성 정책]]은 2.0 이후에만 적용된다.   * 한글은 본래 유니코드 1.0.0에서는 **[[KS X 1001]]의 2350자만 취했다**(!). 그러나 1.1에서 [[KS X 1003]] 및 기타 여기 저기서 가져온 4306자를 더 추가한 뒤에야 이 정책이 영 좋지 않았음이 확인되었고, 결국 2.0에서 영역을 모두 갈아 엎으면서 현대 한글 11172자를 모두 집어 넣으며 문제가 일단락된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로비가 꽤 있었다는 얘기가 있다) 이 때문에 [[http://unicode.org/policies/stability_policy.html#Encoding|유니코드 인코딩 안정성 정책]]은 2.0 이후에만 적용된다.
-  * 한자는 더 심각해서, 유니코드 1.0.1에 처음 한자가 들어갈 때는 **정자와 간자, 약자의 차이를 모두 무시한 [[한중일통합한자]]를 사용했다**. 이 정책은 꾸준히 욕을 먹고 있는데, 이렇게 통합을 한 뒤에도 한자가 여전히 BMP의 1/3을 차지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당시에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수도 있다. 이 상황은 후에 원하는 문자 모양(글리프)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http://unicode.org/reports/tr37/|상형 문자 변형 데이터베이스]](IVD)의 추가로 눈꼽만큼 나아졌다.+  * 한자는 더 심각해서, 유니코드 1.0.1에 처음 한자가 들어갈 때는 **정자와 간자, 약자의 차이를 모두 무시한 [[한중일통합한자]]를 사용했다**. 이 정책은 꾸준히 욕을 먹고 있는데, 이렇게 통합을 한 뒤에도 한자가 여전히 BMP의 1/3을 차지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당시에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수도 있다. 이 상황은 후에 원하는 문자 모양(글리프)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http://unicode.org/reports/tr37/|상형 문자 변형 데이터베이스]](IVD)의 추가로 눈꼽만큼 나아졌다.((그런데 실제로 들어간 걸 보니까 별로 도움이 안 될 거라는 반응도 있다. [[http://babelstone.blogspot.com/2007/06/secret-life-of-variation-selectors.html|The Secret Life of Variation Selectors]] 참고.))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도쿠위키DokuWiki-custom(rev 9085d92e02)을 씁니다.
마지막 수정 2011-12-31 17:38 | 외부 편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