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검열의 역효과

세계 각국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터넷검열을 실시하고 있지만, 검열의 부작용 및 다양한 역효과는 감출 수가 없다.

스트라이샌드 효과

Streisand effect. 어떤 자료를 인터넷 상에서 검열하거나 삭제하려다 오히려 공공연히 확산되는 현상을 이른다. 본래는 해안 침식의 증거 자료로 남기기 위해 찍은 해안 사진에 자기 집이 포함되어 있다고 소송을 제기했다가 졸지에 그 사진이 유명해져버린 모 유명인의 이름을 땄다.

그 밖에 잘 알려진 사례로는:

  • 사이언톨로지의 OT 문서는 지금까지도 잘 돌아 다니고 있다.
  • AACS암호화키 09 F9 11 02 9D 74 E3 5B D8 41 56 C5 63 56 88 C0를 공개한 Digg에 검열이 시도된 적이 있지만 망했다. (그렇다, 여기에도 복제되었다!)

스트라이샌드 효과가 가능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 검열은 언제나 완전하지 않고 더군다나 인터넷은 너무 크다는 점이다. 기존의 검열 프레임워크에서 검열을 빠져 나가려면 꽤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인터넷 덕택에 정보를 무한 복제하면서 검열을 쉽게 빠져 나가는 게 가능해진 것이다.

스컨소프 문제

Scunthorpe problem. 검열을 하려다가 (특히 욕설필터링) 전혀 검열과 상관 없는 자료까지 함께 검열되어서 불편을 겪는 문제를 이른다. 본래는 영국의 스컨소프(Scunthorpe)라는 마을 이름에 "cunt"가 들어 있다고 필터에 걸리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면서 유래했다.1)

그 밖에 잘 알려진 사례로는:

  • 많은 온라인게임의 욕설 필터는 "텔레비전이나 보지" 같은 일상 대화를 필터링해버리곤 한다.
  • 어떤 뉴스 사이트가 "gay"를 "homosexual"로 일괄 치환하다가 100미터달리기 전 세계 챔피언이던 타이슨 게이(Tyson Gay)를 타이슨 호모섹슈얼(Tyson Homosexual)로 개명해버린 사건이 있었다. (보잉보잉 참고)
1) 비슷한 사례로 서섹스(Sussex)가 있다. 이 쪽은 "sex"…

도쿠위키DokuWiki-custom(rev 9085d92e02)을 씁니다.
마지막 수정 2011-05-30 18:25 | 외부 편집기